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de kata
- nodejs
- dql
- dml
- github
- 크로스핏
- axios
- 걷기
- 월별 운동일지
- 달리기
- node
- wecode
- 메디패치
- git
- 독서 리뷰
- 러닝
- 위코드
- Udemy
- Til
- JavaScript
- MySQL
- express
- 홈트
- node.js
- 운동일지
- 드림코딩
- 활동 킬로칼로리
- SQL
- 박스점프
- 습윤밴드
- Today
- Total
목록git (4)
RISK IT
git command $ git rebase [-i] git rebase는 쉽게 말해서 commit을 재정렬하여 같은 branch의 commit끼리 묶는 것을 말한다. -i 옵션은 --interactive 옵션으로, rebase하려는 커밋에 대한 목록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 git rebase --abort --abort는 rebase를 하기 전의 브랜치의 HEAD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 git rebase --continue --continue는 merge conflict를 해결한 후 rebase 과정을 재시작 하는 옵션 $ git reflog reflog는 reflog에 기록된 로컬 히스토리 정보들을 관리한다. $ git reset reset은 현재 HEAD를 특정 상태로 리셋시킨다
개발 스프린트에서 하나의 트렐로 티켓은 하나의 pr을 가리킨다. 나는 두 가지의 티켓을 하나의 pr에서 통합해버렸는데, 이렇게 될 경우 트렐로 티켓에 대한 진행사항 추적이 어려울 수 있게 되며, 개발을 하면서 작업 단위로 branch 분기를 하는 의미가 퇴색된다. 실제 현업에서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작업을 완료했다면 아래 사항을 반드시 확인 후 push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분기 처리한 branch이름이 pr 작업 내용을 잘 포함하고 있는가? (e.g.,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축의 경우 -> feature/database-schema) 작업한 내용은 하나의 티켓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가? 불필요한 코드는 포함되지 않았는가?
Git 정리 새로운 프로젝트의 github 리포지토리에 초기환경 세팅 한 부분을 추가하려 했는데, 자꾸 push가 안돼서 이 참에 제대로 정리하려고 한다. 내가 헷갈렸던 사항들 처음에 리포지토리의 주소를 clone 해와야 한다. 클론한 git을 다시 git init을 하면 초기화되기 때문에 git init을 해선 안된다. git clone을 하면 폴더 자체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만들고자 하는 폴더의 상위 폴더에서 clone을 받아야 한다. 경로를 설정하는 명령어도 있다. 전체 코드 git clone [repository 주소] git branch feature/initial-setting git checkout feature/initial-setting 👆 clone 하고 main 브랜치에서 작..
git 공부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깃허브 입문≫ 책을 통해서 git 공부를 추가적으로 했다. 앞부분은 위코드 다니기 전에 살짝 봐둔 부분이 있어서, 오늘은 뒷부분을 공부했다. http 대신 SSH를 이용하여 깃허브에 원격 접속하기 깃허브로 협업하기(pull, push) VS Code로 깃과 깃허브 다루기 Code Kata 복습 그리고 code kata 1주차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했다.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구글링을 통해서 해결.. 대단한 사람들이 참 많은 것 같다. https://terzaghi.tistory.com/56 [code kata] week 1 - day 3 문제 String 형인 str 인자에서 중복되지 않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제일 긴 단어의 길이를 ..